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76962
문제 설명
과제를 받은 루는 다음과 같은 순서대로 과제를 하려고 계획을 세웠습니다.
- 과제는 시작하기로 한 시각이 되면 시작합니다.
- 새로운 과제를 시작할 시각이 되었을 때, 기존에 진행 중이던 과제가 있다면 진행 중이던 과제를 멈추고 새로운 과제를 시작합니다.
- 진행중이던 과제를 끝냈을 때, 잠시 멈춘 과제가 있다면, 멈춰둔 과제를 이어서 진행합니다.
- 멈춰둔 과제가 여러 개일 경우, 가장 최근에 멈춘 과제부터 시작합니다.
과제 계획을 담은 이차원 문자열 배열 plan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과제를 끝낸 순서대로 이름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3 ≤ plans의 길이 ≤ 1,000
- plans의 원소는 [name, start, playtime]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name : 과제의 이름을 의미합니다.
- 2 ≤ name의 길이 ≤ 10
- name은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name이 중복되는 원소는 없습니다.
- start : 과제의 시작 시각을 나타냅니다.
- "hh:mm"의 형태로 "00:00" ~ "23:59" 사이의 시간값만 들어가 있습니다.
- 모든 과제의 시작 시각은 달라서 겹칠 일이 없습니다.
- 과제는 "00:00" ... "23:59" 순으로 시작하면 됩니다. 즉, 시와 분의 값이 작을수록 더 빨리 시작한 과제입니다.
- playtime : 과제를 마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며, 단위는 `분`입니다.
- 1 ≤ playtime ≤ 100
- playtime은 0으로 시작하지 않습니다.
- 배열은 시간순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 name : 과제의 이름을 의미합니다.
- plans의 원소는 [name, start, playtime]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진행 중이던 과제가 끝나는 시각과 새로운 과제를 시작해야 하는 시각이 같은 경우 진행 중이던 과제는 끝난 것으로 판단합니다.
입출력 예
plans | result |
[["korean", "11:40", "30"], ["english", "12:10", "20"], ["math", "12:30", "40"]] | ["korean", "english", "math"] |
[["science", "12:40", "50"], ["music", "12:20", "40"], ["history", "14:00", "30"], ["computer", "12:30", "100"]] | ["science", "history", "computer", "music"] |
[["aaa", "12:00", "20"], ["bbb", "12:10", "30"], ["ccc", "12:40", "10"]] | ["bbb", "ccc", "aaa"]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korean", "english", "math"순으로 과제를 시작합니다. "korean" 과제를 "11:40"에 시작하여 30분 후인 "12:10"에 마치고, 즉시 "english" 과제를 시작합니다. 20분 후인 "12:30"에 "english" 과제를 마치고, 즉시 "math" 과제를 시작합니다. 40분 후인 "01:10"에 "math" 과제를 마칩니다. 따라서 "korean", "english", "math" 순으로 과제를 끝내므로 차례대로 배열에 담아 반환합니다.
입출력 예 #2
"music", "computer", "science", "history" 순으로 과제를 시작합니다.
시각 | 진행 중 과제 | 잠시 멈춘 과제 | 설명 |
"12:20" | "music" | [ ] | "music"을 시작합니다. |
"12:30" | "computer" | ["music"] | "music"을 잠시 멈추고(남은 시간 30분) "computer"를 시작합니다 |
"12:40" | "science" | ["music", "computer"] | "computer"를 잠시 멈추고(남은 시간 90분) "science"를 시작합니다 |
"13:30" | "computer" | ["music"] | "science"를 끝내고 가장 최근에 멈춘 "computer"를 다시 시작합니다 |
"14:00" | "history" | ["music", "computer"] | "computer"를 잠시 멈추고(남은 시간 60분) "history"를 시작합니다 |
"14:30" | "computer" | ["music"] | "history"를 끝내고 가장 최근에 멈춘 "computer"를 다시 시작합니다" |
"15:30" | "music" | [ ] | "computer"를 끝내고 가장 최근에 멈춘 "music"을 다시 시작합니다" |
"16:00" | - | [ ] | "music"을 끝냅니다 |
따라서 ["science", "history", "computer", "music"] 순서로 과제를 마칩니다.
입출력 예 #3
설명 생략
1. 아이디어
멈춰둔 과제가 있으면 가장 최근에 멈춘 과제부터 진행한다는 점에서 Stack 자료구조를 활용하면 해결할 수 있다.
2. 문제풀이
계산의 편의를 위해 start와 playtime을 int형으로 다룰 수 있는 클래스를 만들어서 사용했다.
입력은 과제의 시작 시간으로 정렬했다.
로직은 멈춘 과제가 없으면 새로운 과제를 Stack에 넣는다.
멈춘 과제가 있으면 Stack에서 과제를 하나 꺼내서 멈춘 과제가 끝나는 시간이 새로운 과제가 시작하는 시간보다 빠르면 멈춘 과제를 완료할 수 있다.
멈춘 과제를 완료할 경우 다른 멈춘 과제가 있으면 해당 멈춘 과제의 정보를 완료한 멈춘 과제에 맞춰 갱신해서 Stack에 넣고 이 과정을 반복한다.
멈춘 과제가 끝나는 시간이 새로운 과제가 시작하는 시간보다 늦으면 멈춘 과제의 정보를 새로운 과제에 맞춰 갱신하고 Stack에 넣고 종료한다.
새로운 과제를 Stack에 넣는다.
이 과정을 모든 과제에 대해 진행하고 이후 Stack에 멈춘 과제가 남아있으면 순서대로 완료해주면 된다.
3. 코드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rivate static class Item {
String name;
int start;
int playtime;
public Item(String name, int start, int playtime) {
this.name = name;
this.start = start;
this.playtime = playtime;
}
}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plans) {
// 과제의 시작 시간을 기준으로 정렬
Arrays.sort(plans, (o1, o2) -> o1[1].compareTo(o2[1]));
// 끝낸 과제를 담는 배열과 인덱스
String[] answer = new String[plans.length];
int idx = 0;
Deque<Item> stack = new ArrayDeque<>();
for (String[] plan : plans) {
String name = plan[0];
int start = convert(plan[1]);
int playtime = Integer.parseInt(plan[2]);
// 멈춘 과제가 없으면 새로운 과제를 바로 Stack에 넣음
if (stack.isEmpty()) {
stack.push(new Item(name, start, playtime));
continue;
}
while (!stack.isEmpty()) {
Item item = stack.pop();
// 멈춘 과제를 끝낼 수 있으면 끝내고 다음으로 최근에 멈춘 과제가 있으면 정보 갱신
if (item.start + item.playtime <= start) {
answer[idx++] = item.name;
if (stack.isEmpty()) break;
Item peek = stack.pop();
stack.push(new Item(peek.name, item.start + item.playtime, peek.playtime));
}
// 멈춘 과제를 끝낼 수 없으면 멈춘 과제의 정보를 갱신에서 Stack에 넣음
else {
stack.push(new Item(item.name, start, item.playtime - (start - item.start)));
break;
}
}
// 새로운 과제를 Stack에 넣음
stack.push(new Item(name, start, playtime));
}
while (!stack.isEmpty()) {
answer[idx++] = stack.pop().name;
}
return answer;
}
// 00:00 부터 지난 분을 반환하는 메서드로 시작 시간을 편하게 다루기 위해 적용
private static int convert(String time) {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time, ":");
return Integer.parseInt(st.nextToken()) * 60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
4. 후기
'코딩테스트 준비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67258번 - 보석 쇼핑 [Java] (0) | 2025.03.10 |
---|---|
[프로그래머스] 118669번 - 등산코스 정하기 [Java] (0) | 2025.03.06 |
[프로그래머스] 172927번 - 광물 캐기 [Java] (0) | 2025.03.04 |
[프로그래머스] 150367번 - 표현 가능한 이진트리 [Java] (0) | 2025.02.22 |
[프로그래머스] 150365번 - 미로 탈출 명령어 [Java] (0) | 2025.02.19 |